써킷브레이커(circuit breakers) 사이드카(sidecar) 란?

금일 한국증시가 폭락하면서 코스닥 시장에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됐음.
코스닥 시장의 서킷 브레이커 발동은 8번째로 4년전인 2016년 2월 12일에 발동된 바 있다.
코스피는 이틀 연속 사이드카가 발동되었다. 이틀 연속 사이드카 발동은 2011년 8월 8~9일 이후
8년 7개월여 만에 처음이다.

써킷브레이커란?
영어의 첫 글자를 따서 'CB'라고도 한다. 전기 회로에서 서킷 브레이커가 과열된 회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말하듯, 주식시장에서 주가가 갑자기 급락하는 경우 시장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주식매매를 일시 정지하는 제도로 '주식거래 중단제도'라고도 한다.현물 서킷브레이커는 현물주가가 폭락하는 경우에만 발동하며, 선물 서킷브레이크는 선물가격이 급등하거나 급락할 때 모두 발동된다.
1987년 10월 미국에서 사상 최악의 주가 대폭락사태인 블랙먼데이(Black Monday) 이후 주식시장의 붕괴를 막기 위해 처음으로 도입된 제도이다. 뉴욕증권거래소(NYSE:New York Stock Exchange)의 경우 10%, 20%, 30%의 하락 상황에 따라 1~2시간 거래가 중단되거나 아예 그날 시장이 멈춰버리기도 한다.
사이드카란?
프로그램 매매호가 관리제도의 일종으로, 주식시장에서 주가의 등락폭이 갑자기 커질 경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주식매매를 일시 정지시키는 제도인 서킷브레이커(circuit breaker)와 유사한 개념이다.
한국에서는 주가지수 선물시장을 개설하면서 도입하였는데, 선물가격이 전일종가 대비 5% 이상(코스닥은 6% 이상) 상승 또는 하락해 1분간 지속될 때 발동하며, 일단 발동되면 발동시부터 주식시장 프로그램 매매호가의 효력이 5분간 정지된다.
그러나 5분이 지나면 자동적으로 해제되어 매매 체결이 재개되고, 주식시장의 후장 매매 종료 40분 전(14시 50분) 이후에는 발동할 수 없으며, 또 1일 1회에 한해서만 발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투자 이야기 >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 통화스와프(Currency swap)란?? (0) | 2020.03.20 |
---|---|
투자 공부 캔피셔의 하락장 4가지 기본적인 특징 - 나스닥 코스피 증시 현재 어느 시점일까?? (0) | 2020.03.15 |
재무 개선 작업? 워크아웃 이란??? (0) | 2020.03.15 |
[반도체 뽀개기2] 반도체 물질의 특성과 기능 // 반도체 관련주 주식 투자 공부 (0) | 2020.03.13 |
[반도체 뽀개기 1] 반도체란 ?? 반도체 관련주 주식 공부 (0) | 2020.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