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의

통화 스와프(currency swap)란, 통화교환(스왑)의 형식을 이용하여 단기적인 자금 융통을 행하기로 하는 계약을 뜻한다. 스왑은 '바꾸다, 교환하다'는 의미로, 국가간의 통화스왑 협정은 필요할 때 두 나라가 자국 통화(예: 원화)를 상대국 통화(예: 캐나다 달러화)와 맞교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목적은??

미래의 경제학적 리스크를 대비하기 위해서 하는 경우가 많다.

외화는 물건처럼 시장에 나와 있어서 아무때나 살 수 있는 것이 아닌데, 무역에 흑자가 나고 가진 자산이 많아도 자국 통화(한국의 경우 원화)가 기축통화가 아닌 한 급박하게 외화가 필요할 때 그 외화가 없으면 민간기업으로 치면 흑자도산에 해당하는 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 한국은 1997년 외환위기의 트라우마로 필사적으로 외화를 끌어모으는데, 외환보유고가 크면 외부의 경제적 충격에는 강하지만 그만큼 자본이 묶인 상태가 되는 등 유연성은 떨어진다

 

이 때 타국과 통화 스와프 계약을 맺어두었으면 해당하는 한도 안에서 자국 통화(예: 원화)를 상대국 통화(예: 달러화)로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지나치게 많은 외화를 묶어두지 않고도 유사시 불을 끌 정도의 외화를 구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외환보유고의 적정 수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한국은 외환위기 트라우마 때문에 필요량을 무척 크게 잡는 편이다.

 

 

 

 

 

 

 

 

달러 등 안전자산 보유자에게 계약조건 유리

수출계약을 따낸 기업이나, 외국펀드, 주식에 투자한 사람은 해당 국가의 통화가치가 급격하게 떨어져 손해를 보는 사태를 막고 싶어한다. 이 때문에 계약이나 펀드투자시점에 미리 만기에 받을 통화교환비율을 정해놓는 경우가 많다. 물론 미리 통화간 교환비율을 정해놓을 경우 투자한 국가의 통화가치가 올랐을 때도 추가 이득을 보지 못한다. 이처럼 통화스왑을 통해 위험을 회피한다는 의미는 통화가치의 상하향 변동의 위험에서 거래당사자가 모두 자유로워진다는 점을 의미한다.

 

물론 이처럼 위험을 회피하는 데는 비용이 든다. 통화스왑(CRS)의 경우 CRS금리가 이 비용에 해당한다. CRS금리는 통화스왑 계약기간 통한 각 통화를 보유한 사람이 상대방에게 주는 돈값, 즉 금리를 의미한다. 1년 만기로 원화를 가진 A와 달러를 가진 B가 통화스왑 계약을 맺는다고 하자. 이 때 달러를 받는 A는 B에게 빌린 달러금리를, 원화를 받는 B는 A에게 원화금리를 각각 줘야 한다.

 

통상 CRS금리, 즉 위험회피의 비용은 안전하지 않은 통화를 가진 사람일수록 비싸다. 금융시장에서 원화는 달러보다 보유할 때 위험이 높다. 국제거래 시 활용되는 공통통화가 아니고 국제화 수준에서도 달러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가치가 낮은 까닭이다. 위에서 예로든 A와 B의 경우 달러를 가진 B가 헷지 비용이 훨씬 적은 게 정상인 셈이다. 따라서 CRS금리는 이 경우 원화를 가진 A가 훨씬 많이 부담해야 한다. 즉 달러를 빌린 데 대한 금리가 높다는 얘기다.

 

 

2008년 상반기 우리나라 금융시장에선 실제로 원화-달러간 통화스왑에서 원화를 가진 사람이 받을 수 있는 금리가 마이너스인 상황이 발생하기도 했었다. 원화를 받은 사람이 이자를 주지 않고 도리어 원화를 빌려준 사람, 즉 A에게 돈을 받는 상황이 생겼다는 얘기다. 이런 상황은 금융시장에서 달러의 수요가 급격히 높아질 때, 즉 위기발생 등으로 안전자산인 달러수요가 급증할 때 발생한다.

 

반응형

BELATED ARTICL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