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트레이딩 뷰 종목코드 NQ1! 기준으로 나스닥 차트분석을 해보았다.

몇일 전 코로나가 증시를 때려 8126p까지 빠졌었음.

 

 

 

계속 하락하는 나스닥 지수 어디까지 빠질까?? 차트 분석

코로나19로 인해 전세계가 발칵 뒤집어지고 있습니다. ㅠㅠ 투자자로서 마음이 너무 아픕니다. 나스닥은 몇 달동안 올린 지수를 워킹데이 8일만에 다 돌려 놓는 스펙타클한 움직임을.. 하지만 우리 투자자 형님들..

ourinvestmentstory.tistory.com

2018년 12월 저점 이후 4파 조정 중이라고 생각하고 있었고 2파 저점과 3파 고점의 피보나치비율 0.618부근까지 빠질 것이라고 예상하였지만 약 100p 차이로 0.618부근까지 오지 않고 반등이 나왔음.

 

다시 돌아와서, 8126p를 저점으로 하였고 대파동 5파의 1파의 시작이라고 생각함.

반등이 나오자 상승론자들 흥분 흥분. 큰 그림으로 계속 우상향 하더라도 변동성이 커진 만큼 우리가 손 꽉쥐고 있을 수 있게 얌전하게 오르진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반등 후 조정으로 현재 플랫 조정을 그리고 있는 것 같음. (전 저점을 깨지 않는 한 현재 view 유지할 예정)

 플랫 조정으로는 3가지 조정이 있음. 러닝플렛으로 가는게 상승론자들에게는 가장 멘탈적으로 좋았을 시나리오였으나

쉽게 갈리가 .. 국내에서는 개인들 신용잔고가 쌓여서 저점이 안나왔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아직 주식시장의 경험이 많지 않아 신용금리가 왜 다 털려야되는지도 잘 모를 뿐만 아니라 개미들 터는건 주가 올리는 과정에 흔들면서 털수도 있지 않은가?

 

아무튼 일봉과 주봉마감이 2파 조정의 a의 저점과 b 고점의 1.236 위에서 마감이 되어서 레귤러 플렛으로 하락 조정이 마무리 되었다고 생각해야 할지??

 

아니면 다음주 시장이 열리면 1.618 부근까지 빼서 확장 플렛형으로 가야할지 지켜봐야 할 듯 하다.

1.618부근은 상승파의 0.886 부근과 겹치는 만큼 중요한 자리라고 생각한다.

아무튼, 엘리엇 파동이론에 따라 2파 조정이 1파 시작점 아래로 내려가지 않는 이상 상승관점을 유지 할 예정이다.

 

변동성이 커진만큼 일희일비 하지말고 본인의 시나리오와 뷰를 가지고 성투하시길.

 

반응형

BELATED ARTICLES

more